화사하고 밝은 첫인상을 주는 데 피부 표현이 중요한 만큼 기미, 잡티, 점 등의 색소 병변을 감출 수 있는 색조 화장품들이 줄곧 출시되고 있다. 다만 일시적으로 가리는 것에 불과해 근본적인 제거를 고민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피부과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가 그 대안이 되고 있다.
색소 질환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기미는 갈색의 불규칙하고 넓은 형태의 색소 반점인데 주로 피부 깊은 층에 생겨 단기간에 치료하기 어렵고 꾸준한 관리가 요구되는 편이다.
눈이나 광대 주위, 뺨과 이마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자외선,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그보다 여성호르몬 요인이 커 피임약을 복용하거나 임신 후 급격히 생기는 경우가 많다.
넓은 형태의 기미와 달리 잡티는 갈색 또는 검은색의 작은 반점에 가깝고 주근깨는 뺨이나 코 등 일광 노출 부위에 주로 생기는 작고 뚜렷한 갈색의 색소이다. 두 가지 모두 자외선이 주된 원인이지만 특히 주근깨는 유전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 외 점, 검버섯, 오타모반, 여드름 색소침착 등 다양한 색소 병변이 있는데 원인과 진행 상태가 천차만별이어서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 레이저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색소의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레이저를 적용해야 하지만 레이저 치료의 근본 원리는 동일하다. 레이저의 균일한 조사와 파장을 이용해 피부의 표피층, 진피층 등에 도달하여 색소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병변에 따라 레이저 시술 횟수와 간격이 달라지며 과도한 시술은 오히려 색소가 짙어지는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의료진과 충분한 상의 후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아울러 한 가지 레이저만 고집하는 게 아니라 피부 상태에 맞는 복합 레이저 치료를 고려한다면 효과적인 색소 제거와 더불어 전반적인 피부톤 개선, 화이트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오라클피부과의원 잠실점 정유석 원장은 “색소 질환은 발생 위치, 색상, 모양이 모두 달라 의학적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스스로 구별하기 어렵다”며 “최근 피부과에서는 색소의 종류, 깊이, 원인을 분석한 후 특성에 맞는 레이저 치료를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진단 결과를 해석하고 맞춤 치료를 제안하는 전문 의료진의 노하우가 치료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조언했다.
색소 질환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기미는 갈색의 불규칙하고 넓은 형태의 색소 반점인데 주로 피부 깊은 층에 생겨 단기간에 치료하기 어렵고 꾸준한 관리가 요구되는 편이다.
![]() |
▲정유석 원장 (사진=오라클피부과의원 제공) |
눈이나 광대 주위, 뺨과 이마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자외선,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그보다 여성호르몬 요인이 커 피임약을 복용하거나 임신 후 급격히 생기는 경우가 많다.
넓은 형태의 기미와 달리 잡티는 갈색 또는 검은색의 작은 반점에 가깝고 주근깨는 뺨이나 코 등 일광 노출 부위에 주로 생기는 작고 뚜렷한 갈색의 색소이다. 두 가지 모두 자외선이 주된 원인이지만 특히 주근깨는 유전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 외 점, 검버섯, 오타모반, 여드름 색소침착 등 다양한 색소 병변이 있는데 원인과 진행 상태가 천차만별이어서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 레이저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색소의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레이저를 적용해야 하지만 레이저 치료의 근본 원리는 동일하다. 레이저의 균일한 조사와 파장을 이용해 피부의 표피층, 진피층 등에 도달하여 색소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병변에 따라 레이저 시술 횟수와 간격이 달라지며 과도한 시술은 오히려 색소가 짙어지는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의료진과 충분한 상의 후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아울러 한 가지 레이저만 고집하는 게 아니라 피부 상태에 맞는 복합 레이저 치료를 고려한다면 효과적인 색소 제거와 더불어 전반적인 피부톤 개선, 화이트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오라클피부과의원 잠실점 정유석 원장은 “색소 질환은 발생 위치, 색상, 모양이 모두 달라 의학적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스스로 구별하기 어렵다”며 “최근 피부과에서는 색소의 종류, 깊이, 원인을 분석한 후 특성에 맞는 레이저 치료를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진단 결과를 해석하고 맞춤 치료를 제안하는 전문 의료진의 노하우가 치료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junsoo@mdtoday.co.kr)

[저작권자ⓒ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